본문 바로가기

Network

VLAN & EtherChannel 실습

Switch역할은 c3660 router에 ESW module 장착

PC역할은 c2691 router 사용

   

   

   

PC와 연결된 Switch의 port는 Access link로 설정하고

Switch 간의 모든 port는 Trunk link로 설정한다

   

L2 Etherchannel

!DSW1, DSW2

int range f1/14 - 15

channel-group 1 mode on

exit

(GNS3에서는 L2Etherchannel 설정이 on밖에 되지 않는다)

이렇게 설정하면 물리적인 선은 2개이지만 논리적으로 하나로 묶이게 된다

   

이 Topology는 Loop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Spanning Tree 가 동작한다

Root bridge를 변경하여 Traffic을 분산시키자

   

VLAN 10의 Root bridge를 DSW1로 설정하는 경우

   

!DSW1

spanning-tree vlan 10 root primary

설정 후 VLAN 10 에 대한 Switch의 port 상태

   

   

   

   

   

   

   

Port의 역할이 결정되고 Blocking되는 포트가 생기는데
VLAN 10에 속한 PC간에 통신을 하면 다음과 같은 경로로 데이터가 오간다

   

   

PC1에서 PC3으로 Ping test 후에 Packet을 확인해보자

   

ASW1의 Fastethernet 1/1

   

   

ASW1의 Fastethernet 1/2로는 Packet이 다니지 않는다

   

   

VLAN 20의 Root bridge를 DSW2로 설정하는 경우

   

!DSW2

spanning-tree vlan 20 root primary

설정 후 VLAN 20 에 대한 Switch의 port 상태

   

   

   

   

   

   

   

VLAN 20에 속한 PC간에 통신을 할 때는 다음과 같은 경로로 데이터가 오간다

   

   

PC2에서 PC4로 Ping test 후에 Packet 확인해보자

   

ASW2의 Fastethernet 1/1

   

   

ASW2의 Fastethernet 1/2로는 Packet이 다니지 않는다

   

====================================

   

   

   

PVST를 활용하면 VLAN별로 다른 route를 사용하게 하여 Traffic을 분산시키고 Link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 이론  (0) 2014.06.23
DHCP 실습  (0) 2014.06.11
Router on a Stick  (0) 2014.06.03
VLAN 실습  (0) 2014.05.27
Static route와 Proxy ARP  (0) 2014.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