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썸네일형 리스트형 OSPF // LSA type LSA (Link State Advertisement)는 OSPF에서 사용하는 링크 상태 정보를 담은 Packet이다. Neighbor에게서 받은 LSA를 Link State Database에 저장하며 같은 Area에 속한 Router들은 같은 Database 정보를 가지고 있다. OSPF는 전달되는 LSA의 수를 줄여서 Traffic의 수나 Routing table의 경로 수를 줄일 수 있다. 여러 종류의 타입으로 나뉘는데 타입 별로 꼭 알아야 할 것 3가지 1) 누가 만드는 것인가 (생성 Router) 2) 어떤 내용을 가지고 있는가 3) 어디까지 전달되나 (전달 범위) 확인 명령어 : show ip ospf database Type 1~5까지 5가지만 살펴 보자 LSA Type 1 : Router .. 더보기 OSPF // Network type OSPF Network type 에서 중요한 3가지 1. Hello interval (Dead interval은 Hello interval의 4배) 2. DR, BDR 선출 여부 3. Neighbor를 자동으로 맺는지, 수동으로 맺는지 이 3가지를 외우려고 하지 말고 이해하자 1. Hello interval Broadcast가 가능한 환경은 Hello interval 10초 Broadcast를 하지 않는 환경은 Hello interval 30초 2. DR/BDR Multi access 환경은 모든 Router들이 OSPF 관련 Packet을 주고 받으면 너무 많은 데이터가 발생하므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 할 DR/BDR을 선출 3. Neighbor Broadcast가 가능한 환경 -> Multicast도.. 더보기 EIGRP // Unequal cost load balancing 모든 Routing protocol은 AD와 Metric이 같으면 부하분산이 일어난다. 목적지까지 가는데 드는 비용을 계산했을 때 같은 경로가 여러 개 있으니 이를 모두 사용하여 데이터를 나누어 처리하겠다는 것이 바로 이와 같은 부하분산이다. EIGRP는 Metric이 다르더라도 부하분산이 가능하다. 이를 Unequal cost load balancing이라고 한다. EIGRP Load balancing의 특징 Metric이 달라도 부하분산이 가능 비율분산 EIGRP에서 Unequal cost load balancing이 일어날 수 있는 전.제.조.건 해당 경로는 Feasible successor 이어야 한다 FD값이 가장 낮은 경로가 Successor, AD값이 Successor의 FD보다 낮은 경로가.. 더보기 EIGRP // DUAL 알고리즘과 Query & Reply packet Diffusing Update Algorithm 의 약자로 EIGRP에서 최적경로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 기본적으로 EIGRP에서 최적경로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대역폭(Bandwidth)과 지연시간(Delay)를 사용하는데 이 때 대역폭은 목적지까지 가는 동안의 최저 대역폭을, 지연시간은 목적지까지 가는 지연시간의 합을 사용한다. DUAL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알아야 하는 용어들을 살펴보자. 1. FD (Feasible distance)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Metric의 합 2. AD (Advertised distance) 출발지 다음 Router부터 목적지까지 Metric의 합 3. Successor EIGRP환경에서 목적지로 가기 위한 최적경로 FD값이 가장 작은 길 4. Feasibl.. 더보기 DHCP 이론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써 네트워크 장비에 자동으로 IP를 할당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Router에서도 이러한 DHCP기능을 이용하여 장비에 IP를 할당해 줄 수 있다. IP 뿐만 아니라 Subnet Mask, DNS server address, Default gateway까지 설정한다. DHCP는 UDP 67, 68번 포트를 사용하며 DHCP server가 67 , DHCP client가 68번 포트를 사용한다. DHCP Packet에는 4가지가 있다. (Discover , Offer , Request , Ack) IP 주소 임대 절차 1. DHCP Discover Client가 동일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DHCP Server를 찾고 IP.. 더보기 DHCP 실습 네트워크 장비에 IP를 할당하는 방법은 자동과 수동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Router에서 DHCP service를 올려서 사용할 수 있다. 모든 장비는 C2691 router Pool name DHCP_test 할당할 네트워크 범위 10.10.10.0 /24 제외할 IP 10.10.10.1 ~ 10.10.10.10 기본 interface 설정 !R1 conf t int s1/0 ip add 29.29.12.1 255.255.255.0 no sh !R2 conf t int s1/0 ip add 29.29.12.2 255.255.255.0 no sh int f0/0 ip add 10.10.10.1 255.255.255.0 no sh ----------------------------------- DHCP.. 더보기 Router on a Stick R1과 SW1은 C3660 router PC1, PC2는 C2691 router 사용 Inter VLAN Router의 Subinterface를 이용하여 PC간에 통신이 가능하게 만들기 (C2691은 Subinterface가 지원되지 않는다) Switch가 Router와 연결되는 port는 Trunk link로 설정한다 Router가 Switch와 연결되는 물리적인 케이블은 하나이지만 논리적으로 나누어 2개가 연결된 것처럼 사용한다. 논리적으로 나눈 인터페이스에는 각각 IP를 할당할 수 있다 Router를 PC처럼 동작시키기 위해 1. Routing 기능을 끄고( no ip routing ) 2. default gateway를 설정했다 ( ip default-gateway ) !PC1 conf t int.. 더보기 VLAN & EtherChannel 실습 Switch역할은 c3660 router에 ESW module 장착 PC역할은 c2691 router 사용 PC와 연결된 Switch의 port는 Access link로 설정하고 Switch 간의 모든 port는 Trunk link로 설정한다 L2 Etherchannel !DSW1, DSW2 int range f1/14 - 15 channel-group 1 mode on exit (GNS3에서는 L2Etherchannel 설정이 on밖에 되지 않는다) 이렇게 설정하면 물리적인 선은 2개이지만 논리적으로 하나로 묶이게 된다 이 Topology는 Loop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Spanning Tree 가 동작한다 Root bridge를 변경하여 Traffic을 분산시키자 VLAN 10의 Root.. 더보기 VLAN 실습 Switch역할은 c3660 router에 ESW module 장착 PC역할은 c2691 router 사용 Switch간의 link type을 바꿔서 세가지 방법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하고 차이점을 살펴보자 첫 번째, f1/14는 VLAN 10의 access link, f1/15는 VLAN 20의 access link로 설정 두 번째, f1/14는 VLAN 10을 허용하는 trunk link, f1/15는 VLAN 20을 허용하는 trunk link 세 번째, f1/14-15 모두 허용하는 trunk link Case 1. Fastethernet 1/14는 VLAN 10의 access link, Fastethernet 1/15는 VLAN 20의 access link !SW1,SW2 int f1/14 shu.. 더보기 Static route와 Proxy ARP Static routing을 설정 할 때 목적지 네트워크로 가기 위해 나가야 할 출구를 정해야 하는데 이 때 방법이 2가지가 있다 1. Next hop router ip address 자신과 연결되어있는 다음 Router의 ip를 입력하여 그 쪽으로 보내겠다 라고 설정하는 방법 2. Local interface 해당 Router가 가지고 있는 interface 중에 Packet을 보낼 interface를 결정하는 방법 R1만 다르게 설정하여 이 두 가지 방법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자 1. Next hop router ip address 먼저 Next hop router ip address 방법으로 설정하자 R1(config)# ip route 2.2.2.0 255.255.255.0 1.1.12.2..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