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PF Network type 에서 중요한 3가지
1. Hello interval (Dead interval은 Hello interval의 4배)
2. DR, BDR 선출 여부
3. Neighbor를 자동으로 맺는지, 수동으로 맺는지
이 3가지를 외우려고 하지 말고 이해하자
1. Hello interval
Broadcast가 가능한 환경은 Hello interval 10초
Broadcast를 하지 않는 환경은 Hello interval 30초
2. DR/BDR
Multi access 환경은 모든 Router들이 OSPF 관련 Packet을 주고 받으면
너무 많은 데이터가 발생하므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 할 DR/BDR을 선출
3. Neighbor
Broadcast가 가능한 환경
-> Multicast도 가능
-> Hello packet을 보낼 수 있음 (Hello packet은 Multicast로 주고 받는다)
-> Neighbor를 자동으로 맺는다
OSPF Network type
Point to point
1. Broadcast가 가능한 환경이기 때문에 Hello interval은 10초
2. 두 대의 Router만이 연결된 환경이기 때문에 DR/BDR 선출 하지 않는다
3. Broadcast가 가능하기 때문에 Neighbor는 자동으로 맺는다
HDLC, PPP, point to point sub interface의 기본 Network type
Broadcast Multi Access
1. Broadcast가 가능한 환경이기 때문에 Hello interval 10초
2. 여러 대의 Router가 연결된 환경이기 때문에 DR/BDR을 선출한다
3. Broadcast가 가능하기 때문에 Neighbor는 자동으로 맺는다
Ethernet의 기본 Network type
Non-broadcast Multi Access
1. Broadcast를 하지 않는 환경이라서 Hello interval 30초
2. 여러 대의 Router가 연결된 환경이기 때문에 DR/BDR을 선출한다
3. 기본적으로 Broadcast를 하지 않으므로 Neighbor를 수동으로 지정해야 한다
Frame-relay main interface, multipoint sub interface의 기본 Network type
Point to multipoint
수동으로 바꾸어 주어야만 볼 수 있는 Network type
Hub and spoke 구조처럼 Full mesh 구조가 아닌 경우에 Hub 역할을 하는 Router에서 많이 적용한다
1. Hello interval은 30초
2. DR/BDR은 선출하지 않는다
3. Neighbor는 자동으로 맺는다
=================================================================
실습 예제
모든 Interface IP setting을 마치고 OSPF 까지 설정을 한 상태
하지만 Router간에 Neighbor를 맺지 않고 있다. Neighbor를 맺지 않았으니 Routing table도 생성되지 않는다.
각 router의 Network type을 확인해보자
R1은 Non-broadcast type에 Hello interval이 30초
(Frame-relay main interface는 기본 OSPF network type이 Non-broadcast)
R2, R3는 Point-to-point type에 Hello interval이 10초
(Frame-relay point-to-point sub interface는 기본 OSPF network type이 Point-to-point)
Network type과 Hello interval을 조정하여 Neighbor가 맺어지도록 만들어야 한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다음 2가지 방법으로 설정 해 본다.
1. R1의 Network type을 Point to multipoint로 바꾼 후 R2, R3의 Hello interval을 조정한다
2. R2, R3의 Network type을 Non-broadcast로 바꾼 후 수동으로 Neighbor를 지정한다
(OSPF에서 Neighbor를 맺기 위해서 연결된 interface 간에 network type이 반드시 일치해야 할 필요는 없다)
Case 1. R1의 Network type을 Point to multipoint로 변경 & R2, R3의 Hello interval 조정
R1의 Network type : Non-broadcast -> Point to multipoint 변경
Hello interval을 확인해보면 30초인 것이 보인다
R2, R3의 Hello interval을 30초로 변경하고 잠시 기다리면 Neighbor가 맺어진다
R1의 Neighbor table
R1의 Routing table
모든 Network 정보가 routing table에 보이고 통신도 가능하다
Case 2. R2, R3의 Network type을 Non-broadcast로 변경 & 수동으로 Neighbor 지정
Case 1을 시도하기 전으로 돌린 후에 설정한다
R2, R3의 Network type : Point to point -> Non-broadcast 변경
Multi access환경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DR/BDR을 선출한다.
이 때 Spoke역할을 하는 Router가 DR이 되면 라우팅 정보가 전달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Hub역할의 Router가 DR이 되게 만든다.
Network type을 바꾸면서 priority를 0으로 만들어 R2, R3는 DR/BDR이 될 수 없게 한다
R1에서 수동으로 Neighbor를 지정하자.
이 때 neighbor 명령어 뒤에 적는 IP는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상대 Router의 IP
입력 후에 조금 기다리면 Neighbor를 맺게 된다.
R1의 Routing table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PF // LSA type (0) | 2014.07.04 |
---|---|
EIGRP // Unequal cost load balancing (0) | 2014.06.26 |
EIGRP // DUAL 알고리즘과 Query & Reply packet (0) | 2014.06.26 |
DHCP 이론 (0) | 2014.06.23 |
DHCP 실습 (0) | 2014.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