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PF // Network type OSPF Network type 에서 중요한 3가지 1. Hello interval (Dead interval은 Hello interval의 4배) 2. DR, BDR 선출 여부 3. Neighbor를 자동으로 맺는지, 수동으로 맺는지 이 3가지를 외우려고 하지 말고 이해하자 1. Hello interval Broadcast가 가능한 환경은 Hello interval 10초 Broadcast를 하지 않는 환경은 Hello interval 30초 2. DR/BDR Multi access 환경은 모든 Router들이 OSPF 관련 Packet을 주고 받으면 너무 많은 데이터가 발생하므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 할 DR/BDR을 선출 3. Neighbor Broadcast가 가능한 환경 -> Multicast도.. 더보기 EIGRP // Unequal cost load balancing 모든 Routing protocol은 AD와 Metric이 같으면 부하분산이 일어난다. 목적지까지 가는데 드는 비용을 계산했을 때 같은 경로가 여러 개 있으니 이를 모두 사용하여 데이터를 나누어 처리하겠다는 것이 바로 이와 같은 부하분산이다. EIGRP는 Metric이 다르더라도 부하분산이 가능하다. 이를 Unequal cost load balancing이라고 한다. EIGRP Load balancing의 특징 Metric이 달라도 부하분산이 가능 비율분산 EIGRP에서 Unequal cost load balancing이 일어날 수 있는 전.제.조.건 해당 경로는 Feasible successor 이어야 한다 FD값이 가장 낮은 경로가 Successor, AD값이 Successor의 FD보다 낮은 경로가.. 더보기 EIGRP // DUAL 알고리즘과 Query & Reply packet Diffusing Update Algorithm 의 약자로 EIGRP에서 최적경로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 기본적으로 EIGRP에서 최적경로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대역폭(Bandwidth)과 지연시간(Delay)를 사용하는데 이 때 대역폭은 목적지까지 가는 동안의 최저 대역폭을, 지연시간은 목적지까지 가는 지연시간의 합을 사용한다. DUAL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알아야 하는 용어들을 살펴보자. 1. FD (Feasible distance)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Metric의 합 2. AD (Advertised distance) 출발지 다음 Router부터 목적지까지 Metric의 합 3. Successor EIGRP환경에서 목적지로 가기 위한 최적경로 FD값이 가장 작은 길 4. Feasibl..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